[논평]
원자력연구원에 대한 전면 감사가 필요하다
- 원자력연구원 화재 축소 의혹에 부쳐
지난 20일 밤 대전의 한국원자력연구원(이하 원자력연구원)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한 가운데, 원자력연구원이 이번 화재 상황을 축소하려 했다는 정황이 포착돼 논란이 커지고 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초동 진압 후 소방 당국에 신고했다는 원자력연구원의 발표와 달리 소방 당국이 출동한 시점까지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고 한다. 원자력연구원은 화재 직후인 저녁 8시 15분쯤 자체 소방대가 초동 진화에 성공했다고 밝혔지만, 출동 소방대원의 증언에 따르면 출동 당시 화재가 외벽을 타고 진행되는 상황이었고 소방서에서 확인된 초기 진화 시각은 원자력연구원의 발표보다 35분 뒤인 8시 50분이었다. 또한, 실제로 119에 신고한 시각과 소방대가 출동한 시각 역시 애초 원자력연구원의 발표와 차이가 났다.
원자력연구원은 반경 1.5km 안에 3만 8천 명, 30km 안에 280만 주민이 살고 있고, 고준위 핵폐기물 3.3톤, 중저준위 핵폐기물 3만여 드럼, 가동과 중단을 반복하고 있는 하나로 원자로, 핵 재처리실험을 염두에 둔 시설 등이 즐비하다. 따라서 핵사고에 대비해 철저하고 세밀하게 시설을 유지, 관리해야 함이 마땅하다. 그러나 이번 화재 사고에 대처했던 원자력연구원의 초기 대응과 후속 조치를 돌이켜 보면, 사실상 전담 관리 요원도 없고, 당연히 매뉴얼도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원자력연구원은 국가기밀을 빌미로 폐쇄적인 운영은 물론 각종 측정기록 조작 축소, 누락, 은폐 행위를 수십 차례 일삼아 왔다. 하지만 탈핵 전환을 선언한 새로운 정부에서조차 이러한 위법 행위와 관행을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
지금이라도 원자력연구원은 있었던 사실을 그대로 정확하고 신속하고 밝히고, 상황을 주민들과 공유해야 한다. 이번 사건은 핵 관련 시설의 화재이기 때문이다. 원자력연구원장은 이번 화재 사건 축소 의혹에 대해 신속히 공개 해명하고 지역 주민에게 사과하라.
또한,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신뢰가 땅에 떨어진 원자력연구원에 대한 전면 감사를 시행하고 화재 사건 축소 의혹에 대한 진상 조사를 진행하여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 국민을 속이고, 국민 위에 군림하고, 예산을 낭비하며 불안감을 키우는 원자력연구원과 같은 연구기관은 필요 없다.
탈핵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맞는 새로운 연구기관이 만들어져야 한다. 폐로 연구와 핵 안전을 위한 다양한 대책, 재생에너지 연구를 위한 활동 등 국민적 요구를 담아낼 새로운 연구 기관이 필요하다.
(2018.1.22. 월, 평등 생태 평화를 지향하는 노동당 대변인 류증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