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이슈 / 논평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80629_총리공관집회금지.png


[논평]

집시법은 집회 및 시위 금지법이 아니다

- 6/28 총리 공관 집회금지 헌법불합치 선고에 부쳐

 

 

어제(6/28) 헌법재판소는 국무총리 공관 100m 안에서 집회를 못 하게 막는 것은 헌법에 어긋난다고 결정했다. 정진우 전 노동당 부대표가 지난 2015년 신청했던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헌제청에 대하여 이날 헌법재판소가 재판관 전원 일치 의견으로 헌법불합치 결정을 선고한 것이다.

 

정진우 전 부대표는 2014610일 오후 청와대 인근에서 열린 6·10 만인대회 당시 총리 공관으로부터 약 60m 떨어진 집회 금지장소에서 시위를 벌이고 경찰의 해산 명령에 따르지 않았다는 혐의로 기소되었다. 재판이 진행 중이던 2015년 정진우 전 부대표는 해당 집시법 조항이 헌법에 어긋난다며 법원에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을 냈고, 법원이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을 받아들여 오늘의 헌법재판소 선고에 이르게 되었다.

 

헌법재판소는 결정 요지를 통해 총리 공관 인근을 집회와 시위 금지장소로 정한 조항은 과잉금지원칙을 위반하여 집회의 자유를 침해하며, 총리 공관 인근에서의 해산명령불응죄 조항 역시 집회의 자유를 침해하여 헌법에 위반된다고 밝혔다. 다만, 헌법재판소는 총리 공관 인근 집회를 어떤 형태로 허용할지는 입법부 판단이 필요하다며 20191231일까지만 기존 집시법 조항의 효력이 유지되도록 했다. 이때까지 해당 조항이 개정되지 않으면 202011일 효력이 상실된다.

 

헌법재판소의 이번 결정은 국무총리 공관 인근에서 옥외집회·시위를 금지하는 집시법 조항에 관한 최초의 위헌 판단이라는 점에서 환영할 만하다. 하지만 지난 531일 국회 100m 이내 집회금지에 관한 위헌 여부를 선고할 때와 마찬가지로 위헌이 아닌 헌법불합치로 결정해 입법부에서 다시 집회의 자유에 제한을 둘 여지를 남겨둔 것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집회의 자유는 민주공화국에서 시민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다. 그런데도 현행 집시법은 국회, 국무총리 공관, 청와대 등 옥외집회와 시위 금지 장소를 정해 집회와 시위를 원천 금지하며 집회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이 아니라 집회 및 시위 금지법이나 다름없다.

 

우리는 촛불항쟁을 통해 성숙한 민주 의식 속에 집회와 시위가 평화롭게 진행되는 것을 목격했으며, 청와대 등 집회 절대금지 성역이 더는 존재할 이유가 없음을 확인했다. 올해 1월 청와대 100m 이내에서 모든 집회·시위를 금지하는 것이 헌법이 보장한 집회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헌법소원이 제기됐는데, 이 또한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단을 벗어나기 힘들 것이다.

 

이번 기회에 국회는 국무총리 공관을 비롯해 국회, 청와대 등 집회 절대금지 성역을 아예 없애고, 국민의 기본권인 집회의 자유를 침해하며 권력 유지의 도구가 되어버린 집시법을 전면 개정하라. 집시법은 집회 및 시위 금지법이 아니다.

 

(2018.6.29. , 평등 생태 평화를 지향하는 노동당 대변인 류증희)

 

 

서비스 선택
로그인해주세요.
댓글
?
Powered by SocialXE

  1. [브리핑] 8기 83차 대표단회의, 이갑용 대표 담화문 발표

    Date2018.07.11 Category브리핑 By대변인실
    Read More
  2. [브리핑] 이경자 부대표, 탈핵 화요 1인 시위 72회 차

    Date2018.07.10 Category브리핑 By대변인실
    Read More
  3. [논평] 자발적 직접고용이라고? LG유플러스의 치졸한 꼼수

    Date2018.07.05 Category논평&성명 By대변인실
    Read More
  4. [정책논평] 토지배당 위한 토지 보유세 도입이 대안이다

    Date2018.07.04 Category논평&성명 By대변인실
    Read More
  5. [논평] 삼성 반도체 직업병은 삼성 재벌의 살인 행위

    Date2018.07.04 Category논평&성명 By대변인실
    Read More
  6. [브리핑] 이경자 부대표, 탈핵 화요 1인 시위 71회 차

    Date2018.07.03 Category브리핑 By대변인실
    Read More
  7. [성명] 사실로 드러난 원자력연구원의 핵폐기물 불법 유통

    Date2018.06.30 Category논평&성명 By대변인실
    Read More
  8. [논평] 집시법은 집회 및 시위 금지법이 아니다

    Date2018.06.29 Category논평&성명 By대변인실
    Read More
  9. [논평] 대체복무제 도입 필요성 인정한 헌재 결정을 환영한다

    Date2018.06.28 Category논평&성명 By대변인실
    Read More
  10. [성명] 쌍용차는 희망 고문을 멈춰라

    Date2018.06.28 Category논평&성명 By대변인실
    Read More
  11. [기자회견문] 전교조 법외노조 유지는 박근혜 적폐의 계승이다

    Date2018.06.27 Category논평&성명 By대변인실
    Read More
  12. [논평] 김동도 동지를 기리며

    Date2018.06.26 Category논평&성명 By대변인실
    Read More
  13. [정책논평] 입법-행정-사법이 담합한 새로운 ‘재판거래’

    Date2018.06.21 Category논평&성명 By대변인실
    Read More
  14. [논평] 높은 지지율 바탕으로 노동자만 옥죄는 문재인 정부

    Date2018.06.21 Category논평&성명 By대변인실
    Read More
  15. [논평] 개표참관인 불법 양도 방조한 대구 수성구 선관위를 규탄한다

    Date2018.06.20 Category논평&성명 By대변인실
    Read More
  16. [성명] KT 황창규 회장은 즉각 사퇴하라

    Date2018.06.19 Category논평&성명 By대변인실
    Read More
  17. [브리핑] 이경자 부대표, 탈핵 화요 1인 시위 70회 차

    Date2018.06.19 Category브리핑 By대변인실
    Read More
  18. [논평] 제주 예멘 난민 신청자에게 혐오가 아닌 공감을

    Date2018.06.19 Category논평&성명 By대변인실
    Read More
  19. [브리핑] 8기 79차 대표단회의, 이갑용 대표 모두 발언

    Date2018.06.14 Category브리핑 By대변인실
    Read More
  20. 지방선거에서 노동당을 지지해 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Date2018.06.13 Category논평&성명 By대변인실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451 Next
/ 451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