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자료

정책 / 정책자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두달만에 번복한 ‘물 민영화’추진, 정부의 말바꾸기 지겹다.

- 정부의 수돗물 ‘민영화’정책은 국민의 삶을 포기하겠다는 선언

   

 

정부가 또 말을 바꿨다. 정부는 24일 ‘상하수도 서비스 개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법’을 9월 중 입법 예고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수돗물의 질 제고와 물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관련 법의 제정을 미룰 수 없다’면서 12월 정기국회에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가 촛불정국 속에서 4대 공공부문의 민영화는 없다고 한 것이 바로 두달 전이다.

 

정부는 기존의 ‘물산업 지원법’을 ‘상하수도 경쟁력 강화법’으로 그 이름을 바꾸긴 했으나 그 핵심적인 내용은 전혀 달라지지 않았다. 이 법의 핵심은 바로 ‘민영화’에 있으며, 당시 문제가 되었던 내용의 대부분을 유지하고 있다.

 

우선 살아가는데에 반드시 필요한 물을 ‘공공재’가 아닌 ‘경제재’로 인식하는 기본적인 방향부터가 그렇다.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될 ‘물’을 ‘사고파는’ 경제적 논리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이해불가이다. 뿐만 아니다. 정부의 민간기업에 대한 수도산업 참여 지원과 수익성을 우선시하는 평가 등이 포함되어 있다. 더불어 정부는 ‘민영화’를 막기 위해 그 지분을 49%이상 소유하지 못하도록 하겠다고는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정부 지분이 몇 퍼센트라는 것이 아니다.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결정과정에 참여하고, 안전한 물을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는가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정부는 이 법안이 ‘민영화’가 아닌 ‘민간위탁’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물 민영화로 인해 엄청난 사회적 문제를 일으켰던 외국의 많은 사례들 역시 소유권이 아닌 관리․운영권을 민간기업이 넘겨받은 것이다. 이미 외국에서 실패한 경험이 있다는 것이다. 일일이 그 예를 언급할 수 없을 만큼, 세계 각지에서 물 서비스를 외국에 위탁했다가 수질저하, 단수, 요금인상 등등의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다 결국 재국유화를 선언한 선례를 따라가겠다는 것인가.

 

공공서비스는 그 자체로 다른 산업과는 구분된다. 네트워크 산업으로 초기투자 비용이 많이 드는 산업이며 인간이 삶을 영위해 가는데 있어 필수적인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네트워크 산업은 지역적으로 독점적인 지위를 가질 수 밖에 없으며, 민간에 맡길 경우 독점으로 인한 폐해가 생기기 쉽다. 그렇기에 이제껏 공공에서 운영해왔던 것이다. 정부는 민간기업에 상수도 서비스를 맡기면 경쟁을 통해 가격은 낮추고 수질은 좋아질 것이며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이 만족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 독점적 형태에서의 경쟁은 입찰경쟁에 불과하며 저가입찰 경쟁은 결국 원가절감으로 이어져 서비스 질의 하락을 가져올 것이다. 또한 사회적 통제력의 약화, 고용불안, 부정부패, 기반시설에 대한 투자저하 등등은 막기 어려울 것이다. 더불어 생산원가의 현실화라는 이름으로 요금인상은 필수적일 것이다. 이미 외국의 많은 사례들이 구구절절 이를 증명해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민간위탁을 실시하고 있는 논산시와 수자원 공사의 운영대가 인상을 둘러싼 분쟁도 발생하고 있다. 요금의 인상은 요금 현실화율이 낮은 지역으로 갈수록 더욱 심해질 것이며, 지역과 수도권의 요금 격차는 점차 벌어지게 될 것이다.

 

환경부를 비롯한 상하수도 관련 단체들은 이 법안과 관련된 토론회를 계속 개최할 예정이다. 토론회의 내용이나 저의도 의심스럽거니와 전문가나 시민토론회를 하기도 전에 입법예고부터 선언하는 오만함은 이명박의 전매특허인가. 스스로 몇 달전에 한 말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대통령에게 국민들은 언제까지 국정운영을 맡겨야 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번 정부의 ‘상하수도 서비스 개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법’은 명백한 민영화 법안이다. 물론 국민들은 안심하고 먹는 수돗물을 원한다. 하지만 민영화는 이에 부응하는 정책적 대안이 될 수 없다. 국민들의 수돗물에 대한 불신과 구조개편의 방향이 왜 하필이면 민영화인가. 수도산업의 개편은 분명 필요하다. 하지만 그 대안이 ‘민영화’일 수는 없다. 필수 공공재인 물을 민영화 한다는 것은 정부가 국민들의 삶의 기반을 포기한다는 선언과 다르지 않다. 시민들이 상수도와 관련된 정책 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단국단일 수도요금제를 통한 교차보조의 확대 등 다양한 대안을 두고도 ‘민영화’만이 지상과제인양 달려가는 이명박 정부에 대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미 하반기에 가스요금을 비롯한 공공요금은 인상될 예정이며, 물가는 하늘을 찌르고 있다. 여기에 물값까지 올릴 셈인가.

 

정부는 물산업을 육성하면서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정수기 물로 샤워하지 않는다. 물 서비스에 있어 ‘효율성’이라는 단어는 ‘안전한 물을 안정적으로 충분히 공급하는 것’으로 재정의 되어야 한다. 기업의 이윤창출이나 기업 육성 등을 목표로 해선 안되는 것이 바로 ‘물’이다. 다시한번 엄중히 경고한다. 삶의 토대인 ‘물’마저 장사속으로 재단하지 말라. 정부의 이번 물산업 민영화 추진 계획은 전면 폐기되어야 한다.




정책실 정책연구위원 강은주 02-6004-203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 [정책논평] 국토해양부의 택지개발특별법은 난개발 법이다 . 강은주 2008.08.26 4795
142 [교육 원고] 공정택 강남교육장은 부자의 욕구만 챙기다. file 송경원 2008.08.25 6463
» [정책논평] 정부의 물산업 민영화 정책에 관해 강은주 2008.08.25 5097
140 [교육 원고] 제주영어교육도시가 제주도민에게 득일까 실일까 file 송경원 2008.08.20 5138
139 [교육 원고] 제주영어교육도시는 하도급과 역외유출의 창구인가? file 송경원 2008.08.20 5651
138 [2008년 7월 25일 성정치 공개강좌 2] 신자유주의 시대 신빈곤층 10대 여성 - 민가영 관리자 2008.08.11 8133
137 [2008년 7월 3일 성정치 공개강좌 1] 신자유주의와 성정치 - 엄기호 진보신당 2008.08.10 8032
136 [교육 원고]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공개 = 줄세우기 + 연좌제 3 file 송경원 2008.08.08 5531
135 [교육 원고] 종부세와 법인세 감면액이면 등록금 30% 줄어 file 송경원 2008.08.04 6573
134 제주영어교육도시 검토 종합보고서(공개용) file 송경원 2008.08.02 10239
133 [교육 원고] 공정택 재선의 의미 1 file 송경원 2008.08.01 5601
132 [교육 원고] 한반도 역사상 전례없는 초중고 일제고사 D-77일 2 file 송경원 2008.07.29 5331
131 장차법을 아시나요?(시행령-고용부문 정부 입장과 이에 대한 토론문) file 좌혜경 2008.07.29 7018
130 [정책논평] 김문수 경기지사의 지역이기주의를 우려한다. file 강은주 2008.07.29 5355
129 [복지-연금] 장애인 연금 관련 논의를 위한 기초자료 file 좌혜경 2008.07.29 6334
128 [복지-연금] 여성 연금 수급권 확대를 위한 기초 논의 자료 file 좌혜경 2008.07.29 6078
127 [교육 분석] 교육부의 <대학자율화 2단계 1차 추진계획(시안)> 검토 file 송경원 2008.07.24 6313
126 [정책논평] 정부의 가스요금 인상은 정부정책 실패의 결과물이다. 37 정책팀 2008.07.22 6489
125 [교육 분석] 영어마을에 비추어 본 제주영어교육도시 1 file 송경원 2008.07.17 7962
124 [교육자료] 내 아이는 명문대 갈 수 있나? 7 file 송경원 2008.07.16 5880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