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논평

정책 / 정책논평

여성노동의위기찐.png





여성노동의 위기를 담지 못한 코로나19 대응 정책

- 모든 코로나19 대응 정책은 성인지적 관점에서 수립되어야 한다



코로나19가 우리 사회에 주는 교훈은 분명하다. 재난이 오면 누구도 안전할 수 없지만, 평소에 안전하지 못하던 이들은 더욱 안전할 수 없다는 사실 말이다.  


코로나19가 지배하던 100일 동안, 마스크를 쓴 여성간호사들은 코로나19와 맞서는 보건의료의 상징 중 하나가 되었다. 하지만 우리가 더 주목해야 하는 이들은 따로 있다. 불안정비정규노동에 시달리는 다수의 여성노동자들이 그들이다. 


코로나19 집단감염지 중의 하나였던 구로의 콜센터, 그곳에서 일하는 대부분의 노동자는 여성들이다. 콜센터의 열악한 노동조건 속에서 근무를 마친 후 또 다른 노동 현장으로 내몰렸던 여성 감염자의 사례는 대한민국 여성노동자들이 처한 경제적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 주었다. 


코로나19의 악영향은 여성노동자들이 많은 숙박 및 음식점업, 교육서비스, 도매 및 소매업 직종의 3월 고용통계(숙박 및 음식점업 -10만9천명, 교육서비스업 -10만명, 도매 및 소매업 -16만 8천명)로도 드러났다. 항공사의 청소노동자들은 무급휴직과 불법해고에 시달리고, 초중고 등교개학이 연기되면서 급식노동자들의 월급이 끊겼다. 또한 보육/요양 등의 사회서비스가 위축되면서 사회서비스에 생산자로 참여하는 여성노동자들은 직접적인 일자리 상실의 위기를 겪는다. 방과 후 강사들은 실업수당조차 청구하지 못하고 있다.


여성노동자들의 고통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위축된 보육/요양 사회서비스의 공백을 자신들의 무급노동으로 메우게 되면서 경제적 노동이 축소하거나 그만두어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 차원의 긴급 재난 지원금의 지급 기준은 "4인 가족 100만원"이다. 성인남성의 주요한 수입원으로 유지되는 가정을 상정한 노골적인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에 바탕을 둔 접근법이다. 이는 여성노동자의 경제적 노동의 가치를 보조적인 노동으로 치부하는 시각이기도 하다. 여성노동자들의 저임금 노동은(남성 대비 여성 임금비율 65.2%) 당연하지 않다. 없애야 할 차별이자 불평등이다. 


열악한 노동조건에서 저임금 노동에 시달리고, 보육과 요양노동까지 감당하고 있는 여성노동자들은 대부분 현재의 노동법으로도 보호받지 못하는 비정규/특수고용/단기노동자들이다. 그렇기에 차라리 왜곡된 정상가족 형식에 맞추지 말고 노동자에게 직접 지원하는 게 낫다.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 가기 위해 정부와 노동운동, 사회운동의 방향은 여성노동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1) 여성노동자의 삶에 종합적으로 대응하는 임금체계/복지체계/사회서비스체계의 구축

- 질과 양이 공공적으로 담보되는 일자리 창출로 성별분업을 넘어선 보편적인 생계부양자 모델을 수립하고, 보육과 노동을 병행하는 여성노동자의 부담을 없애는 사회서비스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2) 불안정비정규 노동을 포괄하는 동시에 노동의 교섭력을 높이는 새로운 노동법률 및 노동체제의 재구성

- 고용보험과 실업부조의 전국민 보편화와 노조할 권리의 보편화가 확립되어야 한다. 

3) 이상의 모든 정책적 모색은 성인지적 관점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코로나19 이전의 세상으로 돌아갈 수 없다면, 이후의 세상은 이전의 세상보다는 나은 세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여성노동자들에게 더 나은 세상이어야, 모두에게 더 나은 세상이 될 수 있다. 



2020년 5월 4일

노동당 정책위원회

?
  • ?
    사르륵 2020.05.08 13:46

    텔레그램에 올린글을 그대로 올리며.
    괜히 성별로 갈러서 글을 쓰니 해결방법이 뭐야? 같은 직종인 남자는 보호할 필요가 없다는 건가.? 하는 의문만 생기고요.

    남자라고 해서 꼭 안정된 직장에 있다는 전제도 틀렸습니다.
    10년간 하위층의 노동계급의 소득은 줄었고, 여전히 취약합니다. 해고 등에 자유롭지 않을걸 넘어서 산재위험은 더 크고요.

    노동계급의 이해가 언제부터 성별로 갈라졌는지도 의문이고. 이런 현실은 의도적으로 눈감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

    조금 힘들게 살고 있는 노동자가 저 글을 본다면. (강의 등 업무) 뭐지 나도 해고되고 힘든데 노동당은 내 의견이 반영되는 당은 아니구나 정도로 생각하겠네요.

    노동계급 에서도 더 취약한 사람을 보호하자. 정도만 말해도 되었을 것을 왜 굳이 구분하는지 의문입니다.

    괜히 성별로 갈러서 글을 쓰니 해결방법이 뭐야? 같은 직종인 남자는 보호할 필요가 없다는 건가.? 하는 의문만 생기고요.

    남자라고 해서 꼭 안정된 직장에 있다는 전제도 틀렸습니다.
    10년간 하위층의 노동계급의 소득은 줄었고, 여전히 취약합니다. 해고 등에 자유롭지 않을걸 넘어서 산재위험은 더 크고요.

    노동계급의 이해가 언제부터 성별로 갈라졌는지도 의문이고. 이런 현실은 의도적으로 눈감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

    조금 힘들게 살고 있는 노동자가 저 글을 본다면. (강의 등 업무) 뭐지 나도 해고되고 힘든데 노동당은 내 의견이 반영되는 당은 아니구나 정도로 생각하겠네요.

    노동계급 에서도 더 취약한 사람을 보호하자. 정도만 말해도 되었을 것을 왜 굳이 구분하는지 의문입니다.

    일단 노동계급의 문제와 남여 젠더간 격차에 의한 문제는 분리되지 않는 문제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부분 가지고도 할얘기가 많지만. > 일단 직종별 성비를 말하면 건설업 비정규직도 매우 취약한 상태입니다.

    운수업 등에서는 여전히 일을 해야만 하는 사람도 있었구요.

    사회적거리두기가 안되는 것은 성별 직종을 불구하고 다 있었고,
    반대로 바로 해고사태가 벌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총체적으로 보면 더 취약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었고 보편적인 얘기를 하는게 맞죠.

    갑자기 성격차가 나올것은 아니라 봅니다.


  1. [정책논평] 기후위기에 대응한 강력한 방안이 필요하다

    기후위기에 대응할 강력한 방안이 필요하다 - 사업정지특별조치법 제정으로 탄소배출 제로 지연 막자 - 곳곳에서 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 정책에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가장 많은 비판이 쏟아지는 분야가 이른바 그린뉴딜이...
    Date2020.07.29
    Read More
  2. [정책논평] 함께 살아가기 위한 교육이 필요한 시대

    함께 살아가기 위한 교육이 필요한 시대 - 유치원부터 노동권·성평등·차별금지 교육을 - 인천국제공항 보안직 정규직 전환 건이 사회적 논쟁으로 치닫는 현실 속에 뚜렷이 보이는 현상이 하나 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학교 교육을 비롯한 제반 교...
    Date2020.06.30
    Read More
  3. [정책논평] 의료적 시련이 있을때만 공공의료를 외치지말자

    의료적 시련이 있을 때에만 ‘의료는 공공재다’라 외치지 말자. - 전액무상 공공의대 설립과 의료공무원 분야 신설을 제안하며 -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육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온전한 상태를 말한다” - 세계보건기구(WHO) ...
    Date2020.05.27
    Read More
  4. [정책논평] 지분으로 납부하는 토지보유세로 한국사회 공공성 구축을 시작하자

    지분으로 납부하는 토지보유세로 한국사회의 공공성 구축을 시작하자! -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수단으로 활용 - 불평등이 한국 사회의 중심 문제로 지적된 지 이미 오래다. 그 불평등이, 여러 영역의 불평등이 계속 겹쳐 심화되어가는 다중격차...
    Date2020.05.26
    Read More
  5. [정책논평] 여성노동의 위기를 담지 못한 코로나19 대응 정책

    여성노동의 위기를 담지 못한 코로나19 대응 정책 - 모든 코로나19 대응 정책은 성인지적 관점에서 수립되어야 한다 코로나19가 우리 사회에 주는 교훈은 분명하다. 재난이 오면 누구도 안전할 수 없지만...
    Date2020.05.04
    Read More
  6. [정책논평]최선은 아니지만 민주주의 실질화에 상당한 진전

    [정책논평] 최선은 아니지만 민주주의 실질화에 상당한 진전 - 국민헌법자문특위의 개헌 자문안 평가   국민헌법자문특별위원회가 13일 헌법 개정 자문안을 제출했다. 기본소득, 사회필수적 생산수단 사회화 등이 담기지 않은 것은 여러모로 아쉽...
    Date2018.03.15
    Read More
  7. [정책논평] 근로기준법 개정, '일자리 공유'의 철학이 없다

    [정책논평] 근로기준법 개정, ‘일자리 공유’의 철학이 없다 - 장시간·저임금의 비정규 노동자들에겐 좌절감만 안겨   노동시간 단축의 기본 취지는 장시간 노동의 고통을 줄이는 것과 함께 기계화·자동화로 축소되는 일자리를 공유하자는 것이다. ...
    Date2018.03.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 Next
/ 35